Purumir's Blog

Machine Learning, SW architect, Management, favorites

출생아수 분석 #1(추세 그래프)

출생아수 저하는 경제력 저하로 이어진다는 말을 많이 들어왔습니다. 직접 분석을 위해서 출생아수 조사를 해보니 출생아수의 감소가 대부분의 광역자치단체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. 이러한 추세를 한번 확인해 보고 그 의미를 분석해보고자 합니다.

먼저 이번 글에서는 출생아수(전국),각 광역 자치단체별 출생아수 데이터 현황을 ‘꺽은선형 차트’를 통해 확인해보고자 합니다.

  • 위 차트는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출생아수 데이터를 Microsoft Power BI를 통해 월별로 데이터를 그리고, 이를 Power BI Cloud에 게시한후, 블로그 페이지에 embed하여 작성되었습니다.
  • 출생아수(전체)는 1981년~2019년(39년), 각 광역자치단체별 출생아수는 1997년~2017년(21년) 구간의 월별(month) 데이터입니다.

기억하시는 분들이 많겠지만 우리나라는 IMF구제 금융(1997.12~2001.08)시기를 겪었습니다. 차트에서 보면 이시기에 출산율이 확연하게 하강곡선을 그리게 됩니다. (차트상의 중간정도 부분). IMF시기가 인구구조에 있어서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였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. 이후 횡보하던 패턴은 2015년경부터 다시 하강곡선을 그리게 됩니다. 비정규직 이슈와 청년 실업 문제가 본격적으로 대두가 되면서 출산율이 다시 하강 곡선을 그리기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.